파이코인은 초대코드를 기반으로 한 ‘레퍼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간 팀 구성이 이루어지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추천만으로 수익을 얻는 다단계 방식과는 다르게,
레퍼럴은 기여 기반으로 작동하며 공정하고 투명한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파이코인의 레퍼럴 구조를 이해하고 오해 없이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초대코드란 무엇인가? (초대코드)
파이코인의 초대코드는 신규 가입자가 기존 유저의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1:1의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입니다.
이 관계는 ‘레퍼럴A – 나’의 구조로 고정되며, 한 사람당 하나의 상위 레퍼럴만 가질 수 있습니다.
내가 초대한 사람이 누구인지, 혹은 나를 초대한 사람이 누구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점은, 레퍼럴팀원이 많다고 해서 무조건 더 많은 점수가 부여되거나 수익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한 명의 레퍼럴이 추가될 때마다 0.25의 기여 효과가 더해지며,
이는 팀원이 많아질수록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아닌, 누적 기여도를 기반으로 속도에 반영됩니다.
또한, 파이코인은 레퍼럴 구조가 다단계 구조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분명히 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초대한 A가 다시 100명의 팀원을 모았다 하더라도, 그 100명은 나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나와 A의 관계는 단순히 1:1로, 그 외 확장은 각자의 독립적인 네트워크로 운영됩니다.
레퍼럴 팀원의 기여 기준은? (팀원관리)
기여도는 단순히 가입으로만 발생하지 않습니다.
파이코인의 레퍼럴 기여점수는 채굴 활동을 기준으로 측정됩니다.
내가 채굴을 하고, 나의 레퍼럴A도 동시에 채굴을 할 때만 기여도가 생기며, 이로 인해 채굴 속도 향상에 영향을 줍니다.
반대로, 내가 채굴하고 있지만 A가 채굴하지 않거나 휴식 중이라면 기여도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는 파이코인이 ‘활동 기반’ 보상을 지향한다는 철학을 보여주는 구조입니다.
단순 추천만으로 수익을 얻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채굴과 상호 활동을 통해 기여를 증명해야만 보상이 주어집니다.
따라서 레퍼럴을 많이 확보하는 것보다, 서로 활동이 활발한 팀을 구성하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또한, 레퍼럴 팀원이 아무리 많더라도 채굴 활동이 없다면 해당 인원은 무의미한 수치에 불과합니다.
반대로 적은 인원이라도 모두가 채굴에 참여하고 있다면 기여도는 더욱 효과적으로 반영됩니다.
이처럼 파이코인은 정량보다는 정질을 중시하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여분의 정산과 마그 반영 방식 (수익모델)
파이코인의 수익 구조는 ‘기여분 → 메인넷 지갑 → 마그 반영’이라는 순서를 따릅니다.
나와 레퍼럴A가 모두 KYC(본인인증)를 통과했다면, 그동안 발생한 기여분은 각자의 메인넷 지갑으로 이체됩니다.
이때 마그 통과 여부는 관계가 없으며, 단순히 KYC만 완료되면 전송이 이루어집니다.
다만, 팀원이 KYC를 통과하였더라도 그 기여분이 반드시 1차 마그에 포함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마그 반영 시점에 대한 공식 입장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차후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채굴이 완료된 파이는 우선 각자의 계정에 저장되고, 다음 마그 시점에 자동으로 이체되는 구조입니다.
추가로 주의할 점은, 레퍼럴 팀원이 자신의 계정을 삭제할 수는 있으나,
내가 그를 팀원 목록에서 임의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일단 형성된 관계는 삭제할 수 없으며, 팀원 명단은 계속 남아 있게 됩니다.
이처럼 파이코인의 레퍼럴 구조는 사용자 간 신뢰와 지속적인 활동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파이코인의 레퍼럴 시스템은 단순한 초대 기반 구조가 아닌, 기여도 중심의 투명한 채굴 시스템입니다.
다단계와 달리 1:1 관계를 유지하면서 실제 활동을 기반으로 보상이 이루어지며,
이는 장기적으로 신뢰와 공정성을 강화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파이코인에 관심이 있다면, 단순히 초대코드만 배포하는 것에 그치지 말고,
꾸준한 채굴 활동과 팀원의 활약까지 고려해 실질적인 수익 모델을 만들어보세요!
'파이코인 > 채굴&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코인 핸드폰 인증 오류 해결법 (알뜰폰, 아이폰, 페북가입자) (0) | 2025.04.24 |
---|---|
파이코인 리턴 문제 해결법 (마이그레이션, KYC, 지갑오류) (1) | 2025.04.23 |
노드란? 코인 수 늘리는 구조 이해 (1) | 2025.04.21 |
파이코인의 방패 시스템 완벽 해부 (방패, 기여분, 보상) (0) | 2025.04.20 |
비밀문구 분실 시 새 지갑과 기존 지갑의 처리 (1) | 2025.04.17 |